top of page


직장 내 괴롭힘 완전정복(1)-1단계: 피해자 조사
직장 내 괴롭힘이란 사용자 또는 근로자가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업무상의 적정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 완전...
이상호
2023년 12월 14일2분 분량
조회수 62회
댓글 0개


국내, 국외 근로기준법 적용 여부(1)
국내기업이 국외에서 사업을 영위하거나, 국내에서 외국기업이 사업을 운영하는 경우 국내법이 적용되어야 할 지, 국외법이 적용되어야 할지 항상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최근 고용노동부가 행정해석을 변경하면서 더더욱 이러한 혼란이...
이상호
2023년 12월 8일2분 분량
조회수 64회
댓글 0개


5인 미만 사업장의 근로기준
지난 칼럼에서는 상시 근로자 수 산정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상시 근로자 수가 5인 미만인 사업장의 경우, 대부분 영세사업장이라는 점에서 그들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현행 근로기준법 중 일부를 적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최근 고용노동부는...
노유민
2023년 12월 4일1분 분량
조회수 7회
댓글 0개


퇴직금에 산입되는 연차수당은?
근로자가 이미 발생한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못한 경우 연차수당(미사용 연차수당)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그렇다면 근로자가 퇴직하는 경우 이러한 연차수당이 모두 퇴직금에 산입될까요? 정답은 '산입되는 연차수당이 있고 산입되지 않는 연차수당이 있다.'...
이동헌
2023년 12월 1일2분 분량
조회수 481회
댓글 0개


권고사직 제안이 해고가 되는 경우
근로자와 체결한 근로계약을 임의로 종료하는 것을 ‘해고’라고 규정합니다. 해고는 근로자의 생활상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근로기준법은 해고 등의 인사처분(전직, 징계 포함)에는 <정당한 이유>를 요구합니다. 여기서 <정당한...
권병화
2023년 12월 1일2분 분량
조회수 22회
댓글 0개


근로자 해고 시 절차를 준수하는 것이 기본인 이유
기업은 규모(근로자 수)가 커지거나 성장이 정체된 경우 ‘해고’를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자주 놓이게 됩니다. 그렇기에 많은 기업들이 저희 법인과 같은 노무법인들과 자문을 구하거나 근로자 해고 컨설팅 상담을 요청하기도 합니다. 여기서 ‘해고’란...
권병화
2023년 10월 16일2분 분량
조회수 36회
댓글 0개


상시근로자수 산정 방법
근로기준법은 상시 5명 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 또는 사업장에 적용되며, 상시 근로자가 4인 이하인 경우는 일부 규정만을 적용합니다. 따라서 상시 5인 미만의 사업장이라면 연차유급휴가, 연장‧휴일‧야간근로 관련 가산수당, 해고 관련...
노유민
2023년 10월 16일1분 분량
조회수 25회
댓글 0개


수습종료통보가 적법하기 위해서는?
많은 기업이 근로자와 본채용 이전에 3개월 등의 기간을 정하여 수습계약을 체결합니다. 수습기간 만료 후 해당 근로자를 본채용하면 문제가 없지만 본채용을 거절하는 경우 이는 해고이므로, 추후 부당해고로 판단될 위험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부당해고를...
이동헌
2023년 10월 16일2분 분량
조회수 703회
댓글 0개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시 조치
직장 내 괴롭힘이란 직장에서의 지위 또는 관계 등의 우위를 이용하여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어 다른 근로자에게 신체적·정신적 고통을 주거나 근무환경을 악화시키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하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 발생 시 사업장에서 취해야 할 조치에 대해...
노유민
2023년 9월 21일2분 분량
조회수 16회
댓글 0개


경영성과급의 임금성과 인사관리의 방향성
많은 기업들이 근로자들의 동기부여, 계속근로 유도 등을 이유로 계약 연봉 외 경영성과급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인사관리의 관점에 기업의 경영성과급은 ‘임금에 해당하는지’가 항상 중요 이슈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경영성과급이 ‘임금’에 해당한다면...
권병화
2023년 9월 5일1분 분량
조회수 44회
댓글 0개


임금 체불 사건의 전반적인 절차
임금체불이란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임금을 제 때에 지급하지 않거나, 지급하더라도 전액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를 말합니다. 임금이 체불된 근로자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구제받을 수 있습니다. (1) 노동청 진정제기 사업장 관할 노동청에 진정서를...
노유민
2023년 8월 8일1분 분량
조회수 42회
댓글 0개


임금체불 가능성이 높은 임금 항목들
사업주는 임금을 제대로 지급하고 있다고 생각했으나 예기치 못한 임금체불이 발생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항목들은 사업주가 인지하지 못한 임금체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실제로 자주 체불이 발생하는 임금들입니다. 업무에 참고하시길...
노유민
2023년 8월 8일1분 분량
조회수 26회
댓글 0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