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동기부여 전략
- 이태영
- 2023년 8월 8일
- 1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23년 10월 16일

1. 동기부여의 필요성
동기부여란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개인의 행동을 자극하고 지휘하며 유지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기업 내에서 직원들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을 하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직원들의 동기부여가 되지 않는다면 기업의 생산성과 성과에 큰 타격이 있을 수 있기에 기업은 직원들이 열정을 가지고 일하여 높은 성과를 내도록 아래의 동기부여 전략 활용을 고려해 봐야 할 것이다.
2. 리더의 언어
직원을 동기부여시키기 위해서 리더의 언어는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① 불확실성을 감소시키는 ‘방향을 제시하는 언어(Direction-giving language)’, ② 칭찬, 격려, 관심을 보여주는 ‘주관적 감정이입 언어(Empathetic language)’, ③ 조직의 규범과 기대를 바탕으로 행동의 의미를 부여하는 ‘의미를 부여하는 언어(Meaning-making language)’가 그것이다.(Jacqueline, 1998)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리더는 업무의 목적, 고려 사항, 과거의 방식 등을 제시하고(방향을 제시하는 언어), 업무성과 및 노력에 대한 칭찬, 조직 생활에 대한 관심 등 사기를 높여주어야 하며(주관적 감정이입 언어), 기업 내 대인관계나 암묵적 지식 등 기업 문화나 흐름을 잘 알려주어(의미를 부여하는 언어) 동기부여를 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3. 업무와 보상의 설정
Vroom(1964)의 기대이론에 따르면, 개인의 선택은 동기부여가 가장 큰 쪽으로 이루어지며, 이는 ① 노력을 하면 성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기대', ② 성과를 달성하면 보상이 주어지리라고 믿는 정도인 '수단', 그리고 ③ 특정 보상에 대해 갖는 선호도인 '유의성'에 의해 결정된다.
즉, 기업은 구성원이 열심히 노력하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게 해야 하고, 더 나아가 그 목표를 달성하면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획득할 수 있다는 믿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개인이 선호하는 보상을 지급하여 동기부여 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동기부여를 위해선 직원의 능력에 상응하는 업무를 부여하고 더욱 높은 수준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 기회를 주어 '기대치'를 높여야 할 것이며, 달성한 목표에 대한 정확하고 공정한 평가를 진행하고 이러한 평가 결과에 상응하는 보상이나 혜택이 뒤따른다는 점을 명확하게 직원들에게 알려 '수단성'을 높이며, 직원들이 선호하는 보상을 마련해 '유의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CNL Consulting Group 이태영 컨설턴트(공인노무사)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