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3.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초안 주요 내용

최종 수정일: 2023년 10월 16일



IFRS(국제회계기준재단) 산하 ISSB(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는 2022년3월 31일 IFRS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공개초안(‘IFRS S1 일반요구사항’, ‘IFRS S2 기후 관련 공시’)을 발표하였습니다.


IFRS 재단은 전 세계의 통일된 회계기준을 도입하여 자본의 유출입에 대한 틀을 마련하기 위한 기구로,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의 국제표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2021년 11월 ISSB를 설립하였습니다.


이로 인하여 ISSB는 i) SASB(지속가능성 회계기준위원회)와 IIRC(국제통합보고위원회)가 합쳐진 VRF(가치보고재단)와 ii) CDSB(기후공시표준위원회)가 통합된 ESG 총괄 기구로 탄생하였습니다.


IFRS재단의 이와 같은 행보는 G20 정상회의, IOSCO(국제증권감독기구) 등 세계적인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본론으로 돌아와서,


금융위원회와 한국회계기준원에서 2022년5월 13일 해당 초안 번역본을 배포,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하였습니다.


‘IFRS S1 일반요구사항’, ‘IFRS S2 기후 관련 공시’ 초안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IFRS S1 일반 요구사항 주요 내용


□ 핵심요소 :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를 다음의 네 가지 핵심 요소에 중점을 두어 공시할 것을 요구(TCFD 권고안 기반)


ㅇ (지배구조) 기업이 유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 및 기회를 감독 및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지배구조 과정, 통제 및 절차에 대한 정보

ㅇ (전략) 유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 및 기회를 다루기 위한 기업의 전략, 이러한 위험 및 기회가 전략 계획(재무계획 포함)에 포함되는지와 해당 전략의 핵심인지를 평가할 수 있는 정보

- 유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 및 기회가 사업모형, 가치사슬, 전략, 재무제표(당기 재무제표 포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공시


*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불가능하지 않다면(unable to do) 양적 정보(단일 값 또는 범위)를 공시. 만일, 양적 정보공시를 할 수 없다면 질적 정보 공시

- 유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에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에 적응하는 기업의 능력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예: 전략 회복력에 대한 질적 또는 양적 분석)


ㅇ (위험관리) 기업이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 및 기회를 식별, 평가 및 관리하는 과정과 이를 위험관리 과정에 통합하는 방식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

ㅇ (지표 및 목표) 기업이 지속가능성 관련 위험 및 기회를 측정, 감독 및 관리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기업의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정보


□ 일반사항 : 일반목적재무제표(이하, 재무제표)와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를 함께 고려할 수 있도록 설계



2. IFRS S2 기후 관련 공시 주요 내용


□ (지배구조) 기업이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를 감독 및 관리하기 위해 활용하는 지배구조 과정, 통제 및 절차에 대한 정보

□ (전략) 유의적인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를 다루기 위한 기업의 전략에 대한 정보

□ (위험관리) 기업이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를 어떻게 식별, 평가 및 관리하는지에 대한 과정(들)에 대한 정보

□ (지표 및 목표) 기후 관련 위험 및 기회를 측정, 감독 및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

IFRS재단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은 EU의 공급망 실사 지침과 더불어 ESG 평가의 국제표준으로 작용할 것 예상되므로, 우리나라 정부 및 국내 기업들의 관심과 준비가 상당히 요구될 것입니다.


C&L ESG 센터에서도 ESG 국제표준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와 지표 개발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CNL Consulting Group 채형석 Director(공인노무사, ISO 심사보)

Comments


CNL Consulting Group

©2023 by CNL Consulting Group.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