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 ESG 경영의 등장

최종 수정일: 2023년 10월 16일



E(Environmental)

S(Social)

G(Governance)


ESG란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환경 및 사회에의 책임,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평가하는 비재무적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즉, 오늘날 글로벌 투자사(VC)들은 기업이 속하는 사회(국제사회)에서의 책임성, 생산·개발에 따른 자연환경에의 영향성, 기업의 의사결정구조에 대한 민주성을 고려하여 투자여부를 판단하고 있습니다.


자주 언급되는 ESG의 시초는 N사의 협력업체 아동노동 근절을 위한 노력의 움직임입니다.

1996년 글로벌 스포츠용품 기업인 N사의 축구공을 파키스탄의 12세 아동이 꿰매고 있는 사진은 저임금, 아동노동의 페해를 상기시켰고, 당시 미국 국민들의 엄청난 반향을 불러일으키며 N사의 주가하락, 불매운동까지 이어졌습니다.


당시 기업입장으로선 비용을 절감하여 상품의 경쟁력을 획득하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지극히 합리적인 판단이었을 것이나, 파키스탄 기업이 아동의 노동을 착취하는 반인륜 행위는 원청회사인 N사의 하청업체로 거래하기 위한 최저입찰 등 구조적 문제에 기인한 것이라는 지적이었던 것입니다.


이후 N사는 1998년 하청업체 아동노동 근절, 미국 기준의 안전보건 기준 준수 노력, 외부 기관으로부터 해외 협력업체 근로자의 근무실태를 파악하도록 하여 검증을 받겠다고 발표하였습니다. N사는 1999년 하청업체 평가 주체로 비영리기구 Fair Labor Union을 설립하고 타 기업의 참여를 권유한 것을 시작으로 노동인권 실사를 진행하여 2005년 업계 최초로 협력업체 리스트 및 업체별 노동인권 현황을 공개하였습니다.


이러한 N사의 공급망 관리 모범사례는 2006년 4월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도입된 책임투자원칙(PRI·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으로 이어졌고 2023년 현재 ESG 공급망 평가 트렌드로 발전되었습니다.


이처럼 ESG는 기업은 인적자원을 활용하여 생산 활동을 수행하나, 인적자원은 도구로 취급하는 여타 자원과 다르게 윤리성, 책임성 등을 요한다는 인간적인 모습으로 시작되었는데요.

이후에는 이러한 ESG 경영의 발전 단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NL Consulting Group 채형석 Director(공인노무사, ISO 심사보)

Commenti


CNL Consulting Group

©2023 by CNL Consulting Group.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